본문 바로가기
건강

색맹 색약 차이 색각이상 원인과 증상

색각이상에 대한 소재도 관심을 받게 되면서 색맹과 색약의 차이 원인 증상 등을 살펴보았다. 해당 증상이 없는 경우 어떤 차이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요즘은 색약 완화에 도움이 되는 콘택트렌즈나 교정 안경 제품들 있다. 

 

 

 

색맹 색약

원추세포란 눈의 망막에 있는 시세포로 색상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적색, 녹색, 청색이 있다. 색약은 이 3가지 원추세포를 모두 갖고 있지만, 2가지 이상의 원추세포가 약해 다른 색과 섞여있다면 구분하기 어려운 증상을 보인다. 색을 구별할 수는 있지만, 어떠한 특정 색이 약해 구분하지 못하는 증상이다. 밝은 곳에서 채도가 높은 색을 볼 때는 잘 보이지만, 멀고 다른 색들과 섞여있을 때 구분하지 못하게 된다. 

 

색약 테스트
색약 구분

색약 테스트로 가장 많이 본 적 있는 이미지이다. 원 내부에 숫자들이 잘 보이지 않는다면 색약의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고 한다. 

 

색맹은 색을 구별하는 능력 자체가 부족한 증상이다. 모든 색을 구별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면 전색맹, 일부의 색들만 구별이 안 되는 경우 부분색맹으로 구분한다. 여기서도 적록색맹 환자가 가장 많은 편인데 적색맹, 녹색맹, 청황색맹 등으로 나뉜다. 

 

 

 

원인

색맹과 색약의 원인은 선천적인 경우와 후천적인 경우로 나뉜다. 선천적인 경우는 유전적으로 색을 구분하는 원추, 원뿔 세포가 약한 경우 나타난다. 색약의 후천적인 요인으로는 망막질환, 시신경질환, 녹내장 등 여러 원인이 있는데 빠른 치료와 예방을 통해 지속적인 눈관리가 중요하다. 

 

색맹의 후천적인 원인으로는 녹내장, 황반변성 등 시력 이상이 많다. 특히 요즘은 PC, 컴퓨터, 스마트폰 하루 종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블루라이트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망막 세포에 영향을 끼쳐 후천적 색맹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때문에 가능하면 블루라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제품들을 활용하거나 스마트폰 등의 사용을 줄여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관리

색약이 일상생활을 하는 데는 크게 지장은 없는 편이지만, 보다 섬세한 작업을 하거나 멀리 있는 물체를 볼 때는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요즘은 색각이상을 교정할 수 있는 안경과 렌즈 등의 제품들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정기적인 검사나 병원 방문을 통해 눈 건강을 관리해 가는 것도 권장한다. 

 

 

 

황반변성 원인과 극복방법 좋은 음식 부작용

 

황반변성 원인과 극복방법 좋은 음식 부작용

황반변성 황반변성은 주로 40대 이상의 환자들이 많은 질환이다. 황반변성은 왜 발병되는지 원인이 무엇이고 극복하는 방법과 음식, 권장섭취량과 부작용 등 황반변성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았

nicetravel.tistory.com

 

댓글